홈택스에서 바로 사업자 업종코드를 조회할 수 있지만, 국세청의 기준경비율 파일로 업태와 업종코드를 찾아보는 방법도 있습니다.
목차
국세청에서는 매년 4월 모든 업종에 대해 기준경비율 자료를 배포합니다. 기준경비율은 사업자 업종코드에 따라 정해지기 때문에 국세청 자료에는 모든 업종에 대한 업태와 업종코드, 기준경비율이 나와있습니다.
사업자등록 신청시 업종코드를 조회하기 위해서 국세청 자료를 찾아볼 수 있지만, 사업을 구상하는 단계에서도 국내 모든 업종이 나와있는 국세청 기준경비율 자료를 찾아보면 그 업종의 분류와 사업 범위를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사업 아이템과 마켓에 대해서도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산업 분류와 업종코드가 나와있는 국세청의 기준경비율 자료를 보실 것을 권해드립니다.
그럼 국세청 기준경비율 자료로 업태와 업종, 업종코드를 찾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업종코드 파일은 아래를 클릭해 주세요.
1. 대분류로 업태 확인하기(온라인 판매, 미용실, 임대사업 등)
알파벳으로 되어있는 대분류는 사업자등록 신청시 주업태와 부업태에 작성해야하는 업태입니다. 사업자등록 신청서에 반드시 기입이 되어야하는 부분이 업태이기 때문에 사업자등록 신청서 양식도 함께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A. 농업, 임업 및 어업
B. 광 업
C. 제조업
D.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E.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
F. 건설업
G. 도매 및 소매업
H. 운수 및 창고업
I. 숙박 및 음식점업
J. 정보통신업
K. 금융 및 보험업
L. 부동산업
M.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N. 사업시설 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O.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P. 교육서비스업
Q.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R.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S.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T.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소비 생산활동
U. 비과세 단체
대분류인 업태를 보면서 내가 하려는 사업이 어느 업태인지 추측해 봅니다. 만약 물건을 네이버스토어팜이나 인스타그램에서 팔거나 온라인 쇼핑몰을 만들어 판매한다면 G.도매 및 소매업을 업태로 하시면 되고, 식당을 열고 싶다면 I. 숙박 및 음식점업이 업태가 되겠습니다.
업태를 추측하기 헷갈리는 개인사업도 많습니다. 헤어샵은 어느 업태에 속할까요? 부동산 임대사업을 하고 싶은데 부동산업일까요, 임대서비스업일까요? 헷갈리는 업태는 목차에서 해당 페이지를 찾아 설명을 읽어보면 내 사업에 맞는 업태인지 정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친절하게 예시와 제외 종목도 다 자료에 있습니다.
미리 헤어샵과 부동산 임대사업자의 업태를 알아볼까요?
만약 헤어샵(미용실)을 운영하고 싶다면 S.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이 업태가 됩니다. 기타 개인 서비스업에 이발소와 미장원, 헤어샵, 피부관리실, 네일샾, 찜질방, 웨딩홀 등 다양한 서비스업종이 포함됩니다.
부동산임대업을 하고 싶다면 L.부동산업이 사업자등록 신청서와 사업자등록증의 업태가 됩니다. 그럼 학원을 하고 싶다면 무엇이 업태가 될까요? 바로 P.교육서비스업이 학원의 업태가 됩니다. 가방이나 양말을 직접 만드는 공장을 운영하고 싶다면 C.제조업이 주업태가 되겠지요.
이처럼 국세청의 기준경비율 자료는 사업을 깊이 들여다보고 사업을 구상하고 확장하는데 아주 도움이 됩니다. 창업하고 싶으신 분들은 이 자료를 잘 활용해보시면 좋겠습니다. 국세청 기준경비율(업종코드) 자료 다운로드
2. 중분류 목차보기
알파벳으로 시작하는 업태인 대분류와 그 아래 중분류는 국세청 기준경비율 자료 목차에도 나옵니다. 그래서 목차를 보고 내가 하려는 사업이 어느 중분류에 속하겠다 미리 추측하고 알아볼 수 있습니다.
물건을 네이버스토어나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하고 싶다면 G. 도매 및 소매업을 업태로 선택하고 목차를 보시면 50, 52 소매업(자동차 제외)에 해당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때 도매 및 소매업 277페이지로 이동하시면 50, 52, 소매업(자동차 제외)의 형태와 범위를 설명해 줍니다.
💡 중분류에서 앞의 번호가 업종코드의 시작 번호입니다. 자동차 및 부품 판매업은 6자리 업종코드 중 앞자리 2자리가 50으로 시작하고, 자동차를 제외한 일반적인 소매업은 앞자리가 50, 52로 업종코드가 시작한다는 뜻입니다. 페이지를 의미하는 게 아니니 헷갈리지 마시기 바랍니다.
3. 중분류 설명 자세히 보기
업태 옆 숫자는 페이지입니다. 그 페이지로 이동하시면 산업의 중분류와 사업 형태에 대해 설명이 있습니다. 그 설명을 읽으시면 업종(종목)에 대한 힌트를 찾을 수 있습니다. 그럼 중분류 소매업 부분을 같이 읽어보겠습니다.
중분류 50, 52 소매업(자동차 제외)
1. 개요
개인 및 소비용 상품(신품 ‧ 중고품)을 변형하지 않고 일반 대중에게 재판매하는 산업 활동으로서 여기에는 백화점, 점포, 노점, 배달 또는 통신판매, 소비조합, 행상인, 경매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소매상은 대체적으로 자신들이 판매하는 상품에 대한 소유권을 갖고 판매하거나 계약(위탁) 또는 수수료에 의하여 소유자를 대리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경우도 있다. 소매업은 일반대중이 용이하게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진열매장을 개설하여 판매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나 가정방문 및 배달판매, 이동판매, 전자통신, 우편 등의 통신판매하거나 행사형식으로 고객을 유치하여 판매하기도 한다.
가. 소매업 분야에서 판매되는 상품은 소비재로 한정되므로 통상적으로 광물, 원유, 산업용 화합물, 철강 및 산업용 기계장비 등과 같은 산업용 기계장비 및 용품의 판매는 도매업으로 본다.
나. 철물 및 기계공구, 페인트, 목재 등은 산업용품일지라도 일반대중을 대상으로 직접 판매할 수 있는 매장을 개설하고 자가 사용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경우에는 소매업으로 본다.
다. 상품판매와 관련하여 상품의 본질적 성질을 변환시키지 않는 처리활동(분할, 냉장, 포장, 절단 등)이 부수될 수 있다.
라. 소매활동과 관련하여 자기가 판매하는 개인 및 가정용품의 설치활동이 부수될 수 있다.
2. 소매업의 형태
가. 종합소매업
일반대중을 대상으로 직접 판매할 수 있는 매장을 개설하고 식품 또는 비식품위주의 각종 상품을 종합적으로 소매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나. 전문소매업
일반대중을 대상으로 직접 판매할 수 있는 매장을 개설하고 특정상품을 전문적으로 소매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여기에는 특정 신상품 전문소매업과 특정 중고품 전문소매업이 포함된다.
다. 중고품 소매업
중고 가구 ‧ 가전제품 ‧ 서적 등 각종의 중고 상품을 소매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라. 무점포 소매업
일반대중을 대상으로 직접 판매할 수 있는 매장(점포)을 개설하지 않고 전자상거래 및 기타통신판매, 행사형식에 의한 고객유치판매, 배달 및 방문판매, 노점, 이동판매, 자동판매기 및 기타 무점포 판매방법에 의하여 각종의 특정상품 또는 종합상품을 소매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3. 타산업과의 관계
가. 농가, 광업 및 제조업체가 직접 생산한 생산물을 판매하는 경우는 그 주된 생산활동에 따라 농업, 광업 및 제조업으로 각각 분류
나. 개인 또는 가정소비를 위하여 일반대중을 대상으로 특정제품(양복, 커튼 등)을 제조하여 소매하는 사업체의 경우에는 제조업으로 분류된다.
소매업의 중분류 기준을 보니 사업 업종 분류에 감이 오시나요? 저도 사업을 준비하면서 국세청 기준경비율 자료를 정말 많이 보고 있습니다.
소매업의 형태를 보면서 내가 하려는 소매 사업이 어느 형태인지 확인이 되시나요? 네이버스토어나 온라인 쇼핑몰에서 물건을 판매하는 경우는 중분류 중 무점포 소매업에 전자상거래 및 기타통신판매와 관련이 되겠습니다.
4. 세세분류로 종목과 업종코드 확인하기
중분류에서 소매업의 형태를 살펴보셨으면 그 형태를 바로 자료에서 검색해서 이동합니다. 이제 무점포 소매업을 Ctrl + F 로 파일에서 검색해서 바로 이동하시면 됩니다.
Ctrl + F 로 무점포 소매업을 검색하시면 파일에서 무점포 소매업을 찾아줍니다. ∧ ∨ 를 눌러 검색을 하니 4번째로 우리가 원하는 내용이 위 화면처럼 나옵니다.
이 화면에서 제일 왼쪽 6자리 숫자가 바로 사업자등록 신청시 필요한 업종코드입니다. 그리고 전자상거래 소매업이 종목이 됩니다. 아래 설명을 자세히 읽어보시면 11번가, G마켓 같은 오픈마켓 판매자도 같은 업종코드를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단, 소셜커머스는 업종코드가 제외입니다.
💡 업종코드는 6자리 숫자이고, 업종코드 옆은 세분류, 그 옆은 세세분류, 그 옆은 기준경비율과 단순경비율입니다. 종목(업종)을 찾으시려면 세세분류를 보시면 됩니다. 세세분류가 바로 업종=종목입니다.
5. 온라인 판매 종목, 업종코드 확인하기
온라인 판매에 해당하는 무점포 소매업은 다양한 사업을 구분하고 있습니다. 네이버스토어와 네이버블로그마켓을 구분지어 업종코드를 달리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온라인 판매를 할 때, 내가 어떤 플랫폼을 사용해서 할 것인지 정하셔야 그에 따른 업종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읽어보시면 온라인 판매(소매)의 종목과 업종코드가 이해되실겁니다. 온라인 판매의 업태와 종목, 업종코드를 정리해보겠습니다.
1) 네이버스토어에서 소매(해외직구 제외): 도매 및 소매업(업태), 전자상거래 소매업(종목), 525101(업종코드)
2) 네이버스토어에서 해외직구 대행: 도매 및 소매업(업태), 해외직구 대행업(종목), 525105(업종코드)
3) 네이버 블로그 마켓: 도매 및 소매업(업태), SNS마켓(업종), 525104(업종코드)
4) 쿠팡, 11번가, G마켓, 옥션 등 오픈마켓: 도매 및 소매업(업태), 전자상거래 소매업(종목), 525101(업종코드)
5) 내가 만든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쇼핑몰): 도매 및 소매업(업태), 전자상거래 소매업(종목), 525101(업종코드)
6) 인스타그램 판매: 도매 및 소매업(업태), SNS마켓(업종), 525104(업종코드)
6. 온라인 판매 업종코드가 헷갈린다면
이제 국세청 기준경비율 자료를 보며 업태와 업종코드를 확인하고 찾으실 수 있습니다. 시간을 좀 들여서 읽으시면 충분히 찾으시면서 내가 몰랐던 사업의 업종에 대해서도 추가로 알고 사업 아이디어도 얻을 수 있습니다. 만약 업태, 종목, 업종코드가 헷갈리셔도 안심하시기 바랍니다.
1) 홈택스 사이트에서는 사업자등록 신청시 사업을 설명하는 빈 칸에 사업 특징을 작성하시면 관할 세무서에서 업종코드를 정해줍니다.
2) 관할세무서에 직접 가시거나 전화로 문의하시면 알려줍니다.
홈택스 사업자 업종코드 조회하는 방법 (feat.네이버스토어)
그럼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Business > 사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리랜서 연말정산 왜 안되나요? 종합소득세 신고, 삼쩜삼 이야기 (2) | 2023.06.11 |
---|---|
네일샵 업태와 업종코드, 속눈썹샵 속눈썹연장 업종코드 (5) | 2023.01.27 |
서울, 경기 등 전국 사업장 주소로 관할세무서 찾기 (0) | 2022.12.11 |
사업자등록 신청 방법과 주의사항 (0) | 2022.11.26 |
프리랜서 뜻과 직업 종류 (2) | 2022.11.25 |
사업자등록 신청시 제출서류와 신청서 서식 (1) | 2022.11.25 |
2022년 국세청 발행, 기준경비율(업태와 업종코드) 자료 (0) | 2022.11.24 |
프리랜서 업태와 업종코드 (2) | 2022.11.24 |